728x90

1년에 한번 내는 세금, '재산세' 납부가 7월 시작됐다. 부동산가격 폭등과 재산세 부과 기준이 되는 '공시가격 정상화' 정책의 추진에 따라 재산세 부담이 늘어났다. 재산세 납부와 관련한 문답을 정리했다.

언제 납부하나주택 재산세는 1기(7월 16~31일)와 2기(9월 16~30일)로 나눠 절반씩 납부한다. 재산세 액수가 20만원 이하인 경우 1기 때 한번에 낸다. 토지는 9월 16~30일, 건축물·선박·항공기는 7월 16~31일 납부한다.

재산세 산정 기준은주택은 공시가격과 공정시장가액비율(주택 60%, 토지·건물 70%)을 곱한 과세표준에 재산세율(0.1~0.4%)을 적용, 누진공제액을 제한 산출세액을 낸다. 그 다음에 도시지역분, 지방교육세, 지역자원시설세를 더해 산출한다. 올해는 1주택자가 보유한 공시가격 9억원 이하 주택에 대해 재산세율 0.05%포인트를 감면한다. 부부 공동명의 주택일 경우 재산세를 산출한 뒤 지분별로 나눠 각 소유자에게 부과한다. 세 부담 상한(전년 대비 인상폭)은 공시가격 3억원 이하 105%, 6억원 이하 110%, 6억원 초과 130%다.

과세 기준일은매년 6월1일이다. 5월31일 주택을 매도한 경우 재산세 부과 대상이 아니다. 부동산 취득 일자는 잔금 지급일과 등기일 가운데 더 빠른 날짜를 기준으로 한다. 공시가격 9억원 이상 주택은 6월1일 보유 기준 종합부동산세도 내야 한다.

다주택자 절세 방법은다주택자의 경우 지자체에 '주택 임대사업자'로 등록하면 임대 기간과 전용면적에 따라 재산세 25~100%를 감면해준다. 내진설계를 갖춘 주택·건축물은 주택 규모, 준공 시기에 따라 50~100%를 감면받을 수 있다. 주택연금에 가입해도 25% 감면 혜택을 준다.

분납 방법은재산세 납부액이 25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납부기한이 지난 날부터 2개월 내 분할납부할 수 있다. 신용카드로 납부하는 국세와 달리 수수료를 부담하지 않는다. 카드회사에 따라 2~7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도 받을 수 있다. 포인트로 결제하거나 포인트를 적립해 주는 경우도 있다. 현금이 없어 세금을 내기 힘든 납세자는 물납 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김노향 기자 (merry@mt.co.kr)

[여론확인 '머니S설문']
[머니S, 네이버 메인에서 보세요]

 

머니S 언론사편집

머니S에서 직접 편집하는 뉴스를 네이버 메인에서 확인하세요.

media.naver.com

 

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prsco_id=417&arti_id=0000713200 

 

[Q&A] 주택 재산세 고지 'D-7'… 카드 납부도 가능해요

주택 재산세는 1기(7월 16~31일)와 2기(9월 16~30일)로 나눠 절반씩 납부한다. 재산세 액수가 20만원 이하인 경우 1기 때 한번에 고지된다. /사진=이미지투데이1년에 한번 내는 세금, ‘재산세‘ 납부

land.naver.com

 

728x90

EPS  [ EARNING PER SHARE ]

= 주당 순이익 (1주당 얼마나 창출 했는지)

= 당기순이익 / 총 발생 주식수

 > 높을 수록 투자가치 있다.

 

PER  [PRICE EARNING RATIO]

= 주가 수익비율, 주가1주당 수익의 몇 배인지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낮을 수록 주식가격 상승 확률이 높다. (꼭 그런건 아님)

  ( 낮은건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미로 볼 수도 있다.)

 

ROE  [RETURN ON EQUITY ]

= 자기자본이익률, 투입한 자기자본 대비 얼마나 이익이 났나

= 순이익 / 자기자본

> 자기자본대비 수익이 많다. 높을 수록 좋은 기업이나 부채비율이 높으면 조심해야함.

 

PBR  [PRICE BOOKVALUE RATIO ]

= 주가순자산 비율, 주가가 순자산 대비 몇배로 거래되는지

= 주가 / 주당 순자산  (순자산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을 모두 합친 금액)

> 낮을 수록 저평가 되어 있다.

 

PDR  [PIRCE TO DREAM RATIO]

> 미래 가치를 보고 전망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나타낸 개념.

 

 

* 위 개념들이 높다고 혹은 낮다고 무조건 적인 투자를 해서는 안된다. 

  지표일 뿐 여러 상황을 판단하여야 한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산세 정리  (0) 2021.07.09
배당금으로 수익내기3(KT&G 고른 이유)  (0) 2021.05.11
배당금으로 수익내기2 ( 기업 선택 )  (0) 2021.05.11
배당금으로 수익내기 1  (0) 2021.05.11
코로나 2단계가 되면?  (0) 2020.11.20
728x90

ㅁ고른이유

 1. 기업의 10년 차트를 보고 현재 단가의 적정성 파악

  = 아래 그래프를 보면 코로나이전 10만원대였으므로 아직 좀더 오를 가능성이 있지 않나 싶음

  - 뭐 여러 이유와 이슈가 있으나 인터넷 찾아보면 여러 좋은 글들이 있으므로 패스 

    (blog.naver.com/cyberiee/222195309191) - 정리 잘 되있는 듯

 

 2. 망하지 않을 대기업, 공기업 라인에서 선정

   = 이건 뭐 말해 뭐해...  MY FATHER이 수익률 보장해 주심

 

3. 수익률, ROE, PER, 과거 배당금 잘나왔는지 확인

- 수익률은 은행보다 높음 (5%)

- 과거 3년간 같은 비슷한 배당금을 줬으니 내년도 비슷하게 줄거란 예상 

  ( 주가가 오르면 배당율은 떨어져도 차액이 날것임)

-ROE,PER 다소 좋음

 

 

=> 그래서 일단 고름. 아직안삼. 곧 살거임.

 

 

 

 

ㅁ참고

* ROE

*PER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산세 정리  (0) 2021.07.09
EPS, PER, ROE, PBR, PDR 용어 개념 정리  (0) 2021.06.05
배당금으로 수익내기2 ( 기업 선택 )  (0) 2021.05.11
배당금으로 수익내기 1  (0) 2021.05.11
코로나 2단계가 되면?  (0) 2020.11.20
728x90

질문) 배당금을 주는 좋은 기업을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실전)

1. 아래 페이지에 들어간다.

2. 좋은 기업의 기준 정하기

 - 기업의 10년 차트를 보고 현재 단가의 적정성 파악

 - 망하지 않을 대기업, 공기업 라인에서 선정

 - 수익률, POE, PER, 과거 배당금 잘나왔는지 확인

 

 

 

위 기준으로 나는 KT&G를 선택해서 보고 있음.

3편에서 왜 KT&G를 선택했는지 확인 해봅시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산세 정리  (0) 2021.07.09
EPS, PER, ROE, PBR, PDR 용어 개념 정리  (0) 2021.06.05
배당금으로 수익내기3(KT&G 고른 이유)  (0) 2021.05.11
배당금으로 수익내기 1  (0) 2021.05.11
코로나 2단계가 되면?  (0) 2020.11.20
728x90

지인 추천으로 배당금으로 수익내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ㅁ 수익내는 원리

 1. 분기 혹은 1년 단위로 보유주식에 따라 배당금을 지급함.

 2. 주식을 싸게 사서 매년 배당금을 받음.

 

ㅁ 수익이 나는 곳

 1. 배당금

 2. 주식 성장 차액

 

ㅁ 실제 하는 법

 1. 투자할 회사 찾기

 - 네이버 '금융'페이지에서 배당항목 검색 ( 맨아래 영상에 자세히 나옴 )

 - 내가 정한 기준에 따라 좋은 회사 선택 ( 수익내기2편에서 자세히 설명)

2. 주식을 싸게 매입해야 하므로 장기적으로 추매를 하려고 함.

 

 

▼아래 지인이 공유해준 유튜브 영상...

 

www.youtube.com/watch?v=jmP77TRhFis

 

 

728x90

 

+ Recent posts